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velop241

RAG란? 지난번 LangChain이란? 포스팅에서 RAG를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1. RAG=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검색 증강 생성외부 데이터를 참조하여 LLM의 정확도와 신뢰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술 그런데 왜 외부 데이터를 참조해야 하는 걸까? 그냥 LLM이 가진 정보만으로도 응답이 잘 만들어지지 않나? 의문을 가질 수 있다. 2. 왜 외부 데이터를 참조해야 할까? LLM은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해 응답을 생성한다. 만약 내 구글 캘린더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문한다면 LLM은 잘못된 정보를 응답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 내 구글 캘린더의 정보를 LLM에게 전달할 수 있다면? LLM은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올바른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RAG를 한국어로 직역하면.. 2025. 11. 4.
LangChain이란? AI 기본 용어 정리 LangChain을 훑어가기 앞서, 나는 LLM = LangChain = AI라고 생각할 정도로 AI에 대해 잘 몰랐다. 그래서 AI를 공부하겠답시고 LangChain 강의를 들었는데... 전혀 다른 개념이었다. 나 같은 사람이 생기기 전에 일단은 LLM, LangChain, RAG 등 'AI 얘기하다 보면 많이 이야기되는 AI 용어들'을 한번 짚고 넘어가 보겠다.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계산 시스템이 학습, 추론, 문제 해결, 의사결정 등 인간의 지능과 연관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LLM= 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자연어 이해 및 생성에 특화된 모델로, 인공지능의 일종대규모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하는 방식으로 .. 2025. 11. 3.
[백엔드 실무 스터디] 5, 6, 7. 비동기, 동시성, I/O 병목 제어 서론이 글은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책을 읽고 진행하는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다. 책을 읽고 학습하는 게 아니라, 책의 내용을 주제로 경험을 공유하는 스터디이기 때문에 포스팅 내용은 책과 관련이 없다. 이번 글은 '5장 비동기 연동,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 '6장 동시성, 데이터가 꼬이기 전에 잡아야 한다', '7장 IO 병목, 어떻게 해결하지'를 읽고 진행한 스터디 내용을 정리했다. '(경험 공유)' 혹은 '(생각 공유)' 표기는 스터디원들이 실무에서 겪은 개인적인 경험이나 생각을 정리한 것이며, 항상 정답은 아니다. 5장 비동기 연동,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 (경험 공유) 비동기 적용 사례병렬 처리를 위한 코루틴 적용알림톡 발송카프카에서 이벤트 컨슘 시 사용ack .. 2025. 8. 17.
[백엔드 실무 스터디] 3, 4. DB와 외부 연동 서론이 글은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책을 읽고 진행하는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다. 책을 읽고 학습하는 게 아니라, 책의 내용을 주제로 경험을 공유하는 스터디이기 때문에 포스팅 내용은 책과 관련이 없다. 이번 글은 '3장 성능을 좌우하는 DB 설계와 쿼리', '4장 외부 연동이 문제일 때 살펴봐야 할 것들'을 읽고 진행한 스터디 내용을 정리했다. (경험 공유) 표기는 스터디원들이 실무에서의 경험을 정리한 것이며, 항상 정답인 예제가 아니다. 3장. 성능을 좌우하는 DB 설계와 쿼리 선택도 (58p)인덱스에서 특정 컬럼의 고유한 값 비율선택도가 높다 = 고유값이 많다 커버링 인덱스 (59p)인덱스 안에 포함된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실제 데이터에 접근할 필요 없음.쿼리를 충족.. 2025. 8. 4.
[백엔드 실무 스터디] 2장. 느려진 서비스 살펴보기 서론이 글은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책을 읽고 진행하는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다. 책을 읽고 학습하는 게 아니라, 책의 내용을 주제로 경험을 공유하는 스터디이기 때문에 포스팅 내용은 책과 관련이 없다. 이번 글은 '2장 느려진 서비스, 어디부터 봐야 할까'를 읽고 진행한 스터디 내용을 정리했다. (경험 공유) 표기는 스터디원들이 실무에서의 경험을 정리한 것이며, 항상 정답인 예제가 아니다. 2장. 느려진 서비스, 어디부터 봐야 할까수직 확장 & 수평 확장 (26p)(경험 공유) CPU 수치에 따라 스케일인/아웃되는 auto scaling group 설정사용자 적은 시간대는 스케일인을 해둔다던가 다양한 조건으로도 설정 가능DB 스케일은 직접 다룰 일이 없다 (DBA에게 요청.. 2025. 7. 5.
[Java] VirtualThread 동작 살펴보기 지난 글인 [Java] Virtual Thread 간단히 알아보기 에서 가상 스레드가 도입된 배경과, 가상 스레드는 무언인가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VirtualThread 클래스를 살펴보고, 가상 스레드가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코드를 통해 대략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참고 코드: jdk21u) VirtualThread 클래스 살펴보기 아래는 VirtualThread 클래스의 코드 일부를 가져와보았다. 여러 멤버 변수들이 있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자.final class VirtualThread extends BaseVirtualThread { // scheduler and continuation private final Executor scheduler; .. 2025. 6. 1.
[Java] Virtual Thread 간단히 알아보기 이 글은 Java Virtual Thread, 가상 스레드가 만들어진 계기를 살펴본다. 가상 스레드 특징들을 공부하고, 도입 시 어떤 점들을 유의해야 하는지까지 간단히 살핀다. Virtual Thread의 자세한 동작 방식은 생략하고, 이후에 따로 글을 작성한다. 자바 스레드 모델 동작 흐름 기존의 Java에서 스레드를 생성하면,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에 의해 관리되는 커널 스레드에 매핑된다. 스레드를 생성할 때마다 시스템 콜도 필요하고, 메모리도 많이 차지한다. 그래서 흔히들 스레드 생성은 비용이 굉장히 많이 드는 작업이라고들 한다. 그래서 자바에서는 스레드가 필요할 때마다 생성하는 게 아닌, 스레드를 미리 만들어놓고 할당/해제하면서 관리하기 위해 '스레드 풀'을 활용한다. .. 2025. 3. 30.
[Coroutines] SupervisorJob vs supervisorScope 서론 SupervisorJob은 코루틴을 만드는 코루틴 빌더이고, supervisorScope은 코루틴 스코프를 만드는 스코프 빌더이다. 그래서 사실 이 둘을 같은 비교 선상에 두기엔 애매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 알아보고 싶은 건 SupervisorJob을 직접 사용할 때와 supervisorScope 사용할 때 무엇이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 싶었다. 필자는 아래 환경에서 코드 확인 및 테스트를 아래 버전에서 하고 있다.jvm 17kotlin 1.8.10coroutines-core 1.7.3  SupervisorJob 해당 job의 자식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실패할 수 있음(= 자식의 실패 또는 취소가 발생한 경우, 다른 자식에게 영향이 없음)부모 job이 존재하는 경우, 부모가 취소되면 현재 job이 .. 2025. 3. 2.
데드락을 유도하는 코루틴 사용법 서론 이 글은 코루틴을 사용하다 겪었던 장애를 소개하는 글이다. 장애 원인이 밝혀지기까지 복잡한 과정이 있었으나, 모두 생략하고 코루틴에 대한 내용만 골라내 설명한다. 장애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그 원인을 유도한 상황은 무엇인지, 어떻게 해결했는지 등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코루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드락 (feat. runBlocking)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는 예제를 가져와보았다. 이 예제에는 두 가지 가정이 존재한다.dispatcher는 스레드를 2개까지 할당할 수 있는 디스패처async(dispatcher) { ... } 의 ...은 동기 호출이라 중단될 일이 없다🔻 실행 가능한 예제코드더보기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하단에서 자세히 살펴보겠다.fun .. 2025. 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