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velop/Reactor+Coroutines12

[Coroutines] SupervisorJob vs supervisorScope 서론 SupervisorJob은 코루틴을 만드는 코루틴 빌더이고, supervisorScope은 코루틴 스코프를 만드는 스코프 빌더이다. 그래서 사실 이 둘을 같은 비교 선상에 두기엔 애매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 알아보고 싶은 건 SupervisorJob을 직접 사용할 때와 supervisorScope 사용할 때 무엇이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 싶었다. 필자는 아래 환경에서 코드 확인 및 테스트를 아래 버전에서 하고 있다.jvm 17kotlin 1.8.10coroutines-core 1.7.3  SupervisorJob 해당 job의 자식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실패할 수 있음(= 자식의 실패 또는 취소가 발생한 경우, 다른 자식에게 영향이 없음)부모 job이 존재하는 경우, 부모가 취소되면 현재 job이 .. 2025. 3. 2.
데드락을 유도하는 코루틴 사용법 서론 이 글은 코루틴을 사용하다 겪었던 장애를 소개하는 글이다. 장애 원인이 밝혀지기까지 복잡한 과정이 있었으나, 모두 생략하고 코루틴에 대한 내용만 골라내 설명한다. 장애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그 원인을 유도한 상황은 무엇인지, 어떻게 해결했는지 등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코루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드락 (feat. runBlocking)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는 예제를 가져와보았다. 이 예제에는 두 가지 가정이 존재한다.dispatcher는 스레드를 2개까지 할당할 수 있는 디스패처async(dispatcher) { ... } 의 ...은 동기 호출이라 중단될 일이 없다🔻 실행 가능한 예제코드더보기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하단에서 자세히 살펴보겠다.fun .. 2025. 1. 11.
Spring MVC + Coroutines 에 대한 고민 🤔 문제의 시작 우리 팀은 Spring MVC와 Coroutines, Kotlin을 사용하는 레포가 있다. 신규 API를 개발해서 호출하니 NoClassDefFoundError가 발생했다. MonoKt를 찾지 못한다고 한다. 모든 API에서 발생하는 건 아니고 코루틴을 적용한 API에서만 발생하였다.Handler dispatch failed: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kotlinx/coroutines/reactor/MonoKt 많은 곳에서 kotlinx.coroutines.reactor 의존성을 추가하라는 말만 있을 뿐, 명쾌한 해결 방법이나 원인에 대해 알기는 어려웠다. WebFlux를 사용하는 것도 아닌데 reactor와 관련된 의존성을 왜 추가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 2024. 9. 30.
[Coroutines] 코루틴과 공유 상태 코루틴 스터디를 하며 정리 중인 시리즈 글왜 코루틴을 써야할까?[Coroutines] 코루틴 빌더, 코루틴 컨텍스트[Coroutines] 구조화된 동시성[Coroutines] 코루틴 스코프 함수[Coroutines] 디스패처[Coroutines] 코루틴과 공유상태 코루틴 코루틴의 이름에는 아래와 같은 뜻이 담겨있다.co: 함께, 협력하는routine: 특정한 일을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coroutine: 함께 실행되는 루틴. 서로 간에 스레드 사용을 양보하며 함께 실행됨 코루틴은 항상 하나의 스레드 위에서 동작하지는 않는다. 코루틴 디스패처와 스레드풀의 연관 관계는 '[Coroutine] 디스패처' 포스트를 참고하길 바란다. 코루틴은 일시 중단이 일어나면 다른 코루틴에게 스레드를 양보한다는 점을 기억.. 2024. 7. 31.
[Coroutines] 코루틴 디스패처 코루틴 스터디를 하며 정리 중인 시리즈 글왜 코루틴을 써야할까?[Coroutines] 코루틴 빌더, 코루틴 컨텍스트[Coroutines] 구조화된 동시성[Coroutines] 코루틴 스코프 함수[Coroutines] 디스패처[Coroutines] 코루틴과 공유상태 💥 디스패처 코루틴 컨텍스트에 대해 학습할 때 디스패처에 대해 간단히 학습하고 넘어갔었다. 이 글에서는 디스패처를 좀더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다. 영단어 디스패처는 사람이나 차량 등을 필요한 곳에 보내는 것을 담당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코루틴에서의 디스패처는 코루틴을 스레드로 보내는 역할(어떤 환경에서 실행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 CoroutineDispatcher의 동작CoroutineDispatcher는 아래와 같은 그림처럼 .. 2024. 7. 8.
[Coroutines] 코루틴 스코프 함수 코루틴 스터디를 하며 정리 중인 시리즈 글왜 코루틴을 써야할까?[Coroutines] 코루틴 빌더, 코루틴 컨텍스트[Coroutines] 구조화된 동시성[Coroutines] 코루틴 스코프 함수[Coroutines] 디스패처[Coroutines] 코루틴과 공유상태 🎉 coroutineScope 코루틴 스코프 함수는 중단함수 내에서 스코프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coroutineScope는 코루틴 스코프 함수의 일종이다. 🔸 coroutineScope 로 인해 중단되는 코루틴coroutineScope는 새로운 코루틴을 생성하면 작업이 끝날 때까지 coroutineScope를 호출한 코루틴을 중단시킨다. 아래 예제를 보면 println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suspend fun main.. 2024. 6. 29.
[Coroutines] 구조화된 동시성, 코루틴 스코프 코루틴 스터디를 하며 정리 중인 시리즈 글왜 코루틴을 써야할까?[Coroutines] 코루틴 빌더, 코루틴 컨텍스트[Coroutines] 구조화된 동시성[Coroutines] 코루틴 스코프 함수[Coroutines] 디스패처[Coroutines] 코루틴과 공유상태 🎄 구조화된 동시성'왜 코루틴을 써야할까?'에서 구조화된 동시성에 대해 아주 잠깐 설명했었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다뤄보려고 한다.  구조화된 동시성(Structured Concurrency)이란, 비동기 작업을 구조화함으로써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보다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원칙이다. 코틀린 코루틴은 비동기 작업인 코루틴을 부모-자식 관계로 구조화함으로써 코루틴을 안전하게 관리 및 제어하게 만들어졌다. 구조화된.. 2024. 6. 29.
[Coroutines] 코루틴 빌더, 코루틴 컨텍스트 코루틴 스터디를 하며 정리 중인 시리즈 글왜 코루틴을 써야할까?[Coroutines] 코루틴 빌더, 코루틴 컨텍스트[Coroutines] 구조화된 동시성[Coroutines] 코루틴 스코프 함수[Coroutines] 디스패처[Coroutines] 코루틴과 공유상태 🔅 코루틴 빌더 코틀린 코루틴은 코루틴을 일시 중단시킨다. 이런 방식을 통해 스레드를 블로킹할 때보다 훨씬 가볍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코루틴 중단은 중단 함수 내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중단함수는 중단함수 내에서만 호출되어야 한다. 중단함수가 최초로 시작되는 지점은 어디일까? 바로 코루틴 빌더다. 🔸 코루틴 빌더중단 함수가 시작되는 지점모든 코루틴 빌더는 자신의 Job을 생성 (Job에 대한 설명은 하단에 있다.)launch.. 2024. 6. 23.
왜 코루틴을 써야할까? 코루틴 스터디를 하며 정리 중인 시리즈 글왜 코루틴을 써야할까?[Coroutines] 코루틴 빌더, 코루틴 컨텍스트[Coroutines] 구조화된 동시성[Coroutines] 코루틴 스코프 함수[Coroutines] 디스패처[Coroutines] 코루틴과 공유상태 😏 스레드의 한계 JVM은 스레드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단일 스레드는 동시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의 작업이 오래 걸리면 다른 작업의 처리도 지연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멀티 스레드다. 멀티 스레드는 스레드를 여러 개 사용해 작업을 처리하는 것으로, 병렬 처리가 가능해진다. (동시성과 병렬성의 차이는 동시성 (Concurrency) vs 병렬성 (Parallelism)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멀티 스레드 이미지를.. 2024. 6. 9.
반응형